Python

[Python] 입출력 (Input/Output)

meizzi 2023. 2. 3. 17:10
728x90
반응형

1. 입력 (input)

  • 파이썬은 입력 시 input() 함수를 사용한다.
  • input()은 입력되는 모든 것을 문자열로 취급한다.
  • 입력 받기 전 앞에 특정 문자열을 넣고 싶다면 " "을 사용하면 된다.
a = input() # 안녕하세요
print(a) # 안녕하세요

b = input() # 123
print(b) # 123

c = input("값 입력 : ")

2. 여러 값 한 번에 입력받기 (split, map)

  • split() 함수는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잘라 리스트로 만들어주는 함수이다.
    • input().split()과 같이 사용한다.
    • 만일 input().split(" ")라면 공백 한 칸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자르겠다는 의미이다.
a = input()
print(a) # "1 2 3 4 5"

a = input().split()
print(a) # ['1', '2', '3', '4', '5']
  • map()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지정된 함수로 처리해주는 함수이다.
    • map(function, iterable)
      • 1번째 인자로는 함수, 2번째 인자로는 반복 가능한 자료형(list, tuple 등)을 사용한다.
    • 원본 리스트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한다.
    • map() 함수의 반환 값은 해당 자료형을 list나 tuple로 형 변환 시켜야 한다.
a = map(int, input().split())
print(a) # <map object at 0x01D56750>

a = list(map(int, input().split()))
print(a) # [1, 2, 3, 4, 5]

a = tuple(map(int, input().split()))
print(a) # (1, 2, 3, 4, 5)

3. 출력 (output)

  • 파이썬은 출력 시 print() 함수를 사용한다.
  • print() 안에 ,(콤마)를 넣으면 각 값 사이에 공백 한 칸씩 띄워진 상태로 출력된다.
print(1, 2, 3) # 1 2 3

a = 0
b = 5
c = -4

print(a, b, c) # 0 5 -4
print(a, 10, b) # 0 10 5
  • 만일 공백이 아닌 특정 문자를 넣고 싶다면 인자로 sep라는 구분자를 이용한다.
print(1, 2, 3, sep=',')     # 1,2,3
print(1, 2, 3, sep='a')    # 1a2a3
print(1, 2, 3, sep='')      # 123
print(1, 2, 3, sep=', ')    # 1, 2, 3
print(1, 2, 3, sep='\n')
# 1
# 2
# 3
  • 기본적으로 print() 함수를 통해 출력 후 자동으로 줄바꿈해준다.
  • 이때, 줄바꿈이 아닌 다른 문자로 출력하고 싶다면 인자로 end라는 구분자를 이용한다.
print(1, 2, 3, end=' ')
print(4, 5, 6)
# 1 2 3 4 5 6

print(1, 2, 3, end=' ^^ ')
print(4, 5, 6)
# 1 2 3 ^^ 4 5 6

print(1, 2, 3, end='\n')
print(4, 5, 6)
# 1 2 3
# 4 5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