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8111
18111번: 마인크래프트
팀 레드시프트는 대회 준비를 하다가 지루해져서 샌드박스 게임인 ‘마인크래프트’를 켰다. 마인크래프트는 1 × 1 × 1(세로, 가로, 높이) 크기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3차원 세계에서 자유롭게
www.acmicpc.net
문제
팀 레드시프트는 대회 준비를 하다가 지루해져서 샌드박스 게임인 ‘마인크래프트’를 켰다. 마인크래프트는 1 × 1 × 1(세로, 가로, 높이) 크기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3차원 세계에서 자유롭게 땅을 파거나 집을 지을 수 있는 게임이다.
목재를 충분히 모은 lvalue는 집을 짓기로 하였다. 하지만 고르지 않은 땅에는 집을 지을 수 없기 때문에 땅의 높이를 모두 동일하게 만드는 ‘땅 고르기’ 작업을 해야 한다.
lvalue는 세로 N, 가로 M 크기의 집터를 골랐다. 집터 맨 왼쪽 위의 좌표는 (0, 0)이다. 우리의 목적은 이 집터 내의 땅의 높이를 일정하게 바꾸는 것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두 종류의 작업을 할 수 있다.
- 좌표 (i, j)의 가장 위에 있는 블록을 제거하여 인벤토리에 넣는다.
- 인벤토리에서 블록 하나를 꺼내어 좌표 (i, j)의 가장 위에 있는 블록 위에 놓는다.
1번 작업은 2초가 걸리며, 2번 작업은 1초가 걸린다. 밤에는 무서운 몬스터들이 나오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땅 고르기 작업을 마쳐야 한다. ‘땅 고르기’ 작업에 걸리는 최소 시간과 그 경우 땅의 높이를 출력하시오.
단, 집터 아래에 동굴 등 빈 공간은 존재하지 않으며, 집터 바깥에서 블록을 가져올 수 없다. 또한, 작업을 시작할 때 인벤토리에는 B개의 블록이 들어 있다. 땅의 높이는 256블록을 초과할 수 없으며, 음수가 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N, M, B가 주어진다. (1 ≤ M, N ≤ 500, 0 ≤ B ≤ 6.4 × 107)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각각 M개의 정수로 땅의 높이가 주어진다. (i + 2)번째 줄의 (j + 1)번째 수는 좌표 (i, j)에서의 땅의 높이를 나타낸다. 땅의 높이는 256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에 땅을 고르는 데 걸리는 시간과 땅의 높이를 출력하시오. 답이 여러 개 있다면 그중에서 땅의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을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1
3 4 99
0 0 0 0
0 0 0 0
0 0 0 1
예제 출력 1
2 0
맨 오른쪽 아래의 블록을 제거하면 모두 높이가 0으로 고른 상태가 된다. 따라서 블록을 한 번 제거하는 시간 2초가 소요된다.
예제 입력 2
3 4 1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3
예제 출력 2
1 64
인벤토리에 블록이 하나 있기 때문에, 맨 오른쪽 아래에 블록을 하나 채우면 된다.
예제 입력 3
3 4 0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3
예제 출력 3
22 63
인벤토리가 비어 있기 때문에, 맨 오른쪽 아래를 제외한 모든 좌표에서 블록을 하나씩 제거해야 한다.
풀이
설명
- 현재 블록 높이와 도달해야 하는 높이를 비교하며 가져온 블록인 take와 사용한 블록인 use에 블록을 추가한다.
- 사용한 블록과 가져온 블록, 원래 쌓여있던 블록 개수를 비교하여 도달해야 하는 높이로 만들 수 있는지 체크한다.
- 가능하면 걸리는 시간과 가장 높은 땅의 높이를 출력한다.
- Python3으로 제출하면 시간초과가 발생한다.
- PyPy3 사용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B = map(int, input().split())
block = []
for i in range(N):
block.append([int(j) for j in input().split()])
time = int(1e9)
height = 0
for i in range(257): # 땅의 높이
use = 0
take = 0
for j in range(N):
for k in range(M):
if block[j][k] > i:
take += block[j][k] - i
else:
use += i - block[j][k]
if use > take + B:
continue
cnt = take*2 + use
if cnt <= time:
time = cnt
height = i
print(time, height)
'Algorithm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gorithm] 백준 2750번 수 정렬하기 (Python) (0) | 2023.04.16 |
---|---|
[Algorithm] 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Python) (1) | 2023.04.15 |
[Algorithm] 백준 1654번 랜선 자르기 (Python) (1) | 2023.04.13 |
[Algorithm] 백준 15829번 Hashing (Python) (0) | 2023.04.12 |
[Algorithm] 백준 2805번 나무 자르기 (Python)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