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Baekjoon

[Algorithm] 백준 10972번 다음 순열 (Python)

meizzi 2023. 2. 14. 15:13
728x90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0972

 

10972번: 다음 순열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순열의 다음에 오는 순열을 출력한다. 만약, 사전순으로 마지막에 오는 순열인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1부터 N까지의 수로 이루어진 순열이 있다. 이때, 사전순으로 다음에 오는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사전 순으로 가장 앞서는 순열은 오름차순으로 이루어진 순열이고, 가장 마지막에 오는 순열은 내림차순으로 이루어진 순열이다.

N = 3인 경우에 사전순으로 순열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1, 2, 3
  • 1, 3, 2
  • 2, 1, 3
  • 2, 3, 1
  • 3, 1, 2
  • 3, 2, 1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 순열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순열의 다음에 오는 순열을 출력한다. 만약, 사전순으로 마지막에 오는 순열인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4
1 2 3 4

예제 출력 1

1 2 4 3

예제 입력 2

5
5 4 3 2 1

예제 출력 2

-1

풀이

설명

  • 처음에 permutations를 사용하여 풀어봤는데 시간 초과가 발생했다.
  • 그래서 직접 위치를 swap 했다.
  • 마지막 수부터 비교하면서 만일 뒤의 값이 바로 앞의 값보다 크면 내림차순이 아니라는 의미이므로 다음 과정을 수행한다.
    • 앞서 뒤의 수와 비교했을 때 작았던 값과 다시 마지막 수부터 비교한다.
    • 이때, j가 그 수보다 크면 두 수의 자리를 바꾼다.
    • 그 뒤부터 sorted() 함수를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뒤 출력한다.
    • 예를 들어, 입력값으로 1 4 3 2가 들어왔다고 하자.
      • 먼저, 1번째 조건문에서 확인해 볼 수 있는 수들은 (1, 4), (4, 3), (3, 2)이다.
      • 이 중에서 1번째 조건문을 통과할 수 있는 경우는 (1, 4)이다,
      • num [i] = 4, num [i-1] = 1
      • num [i-1]인 1을 가지고 다시 뒤에서부터 비교한다.
      • 1보다 큰 경우는 2로 num [j] = 2가 된다.
      • 이때, 두 수의 위치를 서로 바꿔준다.
      • 그 후 i번째 전까지인 2를 저장하고 뒤에 있는 수인 4 3 1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서 2 뒤에 순서대로 저장하여 출력한다.
      • 결과 : 2 1 3 4
  • 만일 뒤의 값이 모두 바로 앞의 값보다 작다면 입력값 자체가 내림차순이라는 의미이므로 -1을 출력한다.

코드

N = int(input())
num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1, 0, -1) : # 뒤에서부터 비교
    if num[i] > num[i-1] : # 뒤에 있는 값이 크면 내림차순이 아니라는 의미
        for j in range(N-1, 0, -1) : # 다시 뒤에서부터 비교
            if num[i-1] < num[j] :
                num[i-1], num[j] = num[j], num[i-1]
                num = num[:i] + sorted(num[i:])

                for k in num :
                    print(k, end = ' ')
                exit() # 코드 종료
print(-1)
728x90
반응형